알데하이드와 케톤의 명명은 어떤 공식이 있나?

 

알데하이드는 해당되는 알케인 이름 끝에 있는 -e 대신에 -al로 바꾸어 명명합니다. 모체 사슬은 반드시 -CHO기를 포함하고 있어야 되고, -CHO 탄소가 항상 1번 탄소로 번호를 붙입니다. 다음 예에서 2-ethyl-4-methylpentanal에서 가장 긴 사슬은 heane이지만, 이 사슬은 -CHO 기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, 따라서 이 사슬을 모체로 고려할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고리에 -CHO 기가 직접 결합되어 있는 고리형 알데하이드의 경우 접미사로 -carbaldehyde가 사용됩니다.

 

 

 

 

몇 가지 간단하고도 잘 알려져있는 알데하이드는 IUPAC에 의해서 인정된 관용명이 있습니다. 이 몇가지 알데하이드를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.

 

몇 가지 간단한 알데하이드의 관용명

  

 

 

케톤은 해당되는 알케인 이름 끝에 있는 -e대신 -one으로 바꾸어 명명합니다. 모체 사슬은 케톤기가 포함된 것 중에서 가장 긴 사슬이며, 번호는 카보닐 탄소에 가까운 말단 탄소부터 시작합니다. 알켄과 알코올에서처럼 주작용기 자리는 옛날 규칙에 의해서는 모체 앞에 놓치만 IUPAC에서 권장하는 새로운 접미사 바로 앞에 놓습니다.

 

예를 들어서 보면,

 

 

 

 

몇 가지 케톤의 관용명은 IUPAC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R-C=O 기를 치환기로 명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아실 기(acyl group, a-sil이라고 읽습니다.)라는 용어를 쓰며, 이름의 끝에 -yl를 붙입니다. 따라서, -COCH₃는 아세틸(acetyl)기이고, -CHO는 폼일(formyl) 기이며, -COAr은 아로일(aroyl) 기이며 그리고 -COC6H5는 벤조일(benzoyl)기입니다.

 

 

 

 

만일 다른 작용기가 존재하고 이중 결합된 산소 원자를 모체 내 치환기로 간주해야 할 경우는 접두사 -oxo가 사용됩니다.

예를 들어보면,

 

 

이렇게 됩니다. 3-Oxohexanal

 

 

 

 

 

Posted by Brave David
,